전쟁사 이야기 - 번외편 발상의 전환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는 정말 사소한 변화로 큰 발명에 연결되어 역사에 남은 독특한 일이 많습니다.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생각의, 발상의 전환으로도 무언가 획기적인 물건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자가 쪼들리고 항상 보급이 부족한 전쟁에서도 이런 일들이 비일비재합니다. 평소에 어떤 용도로 쓰이던 물건인데, 아주 우연히 다른 용도에도 써봤더니 효과가 끝내주더라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주 어렵고 복잡해보이는 문제를 간단한 아이디어의 전환으로 해결하거나 발전시킨 사례를 좀 소개해볼까 합니다.
흔히 대공포라하여, 상대방의 전투기나 항공기를 격추시키는 물건이 있습니다. 하늘을 향해 쏘아야하기 때문에 각도를 높여서도 쏠 수 있어야하고, 또 안에 사용되는 포탄 또한 일정 고도에서 폭발하는 시한폭탄 장치 따위를 달아서 써야합니다.
그런데 독일에서 운용 중이던 8.8 cm Flak이라는 대공포는 정말 의외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냅니다. 평소 하늘을 향해 쏘던 물건을, 지상에 대고 낮게 쏘니까 상대방 전차를 쉽게 뚫어버린다는 사실을 독일군이 깨닫게 됩니다.
그래서 본래 대공포로 사용되던 이 무기는, 훗날 대전차 무기로도 활약합니다.
(자신이 파괴시킨 전과를 기록한 '킬마크'가 써져 있는 독일군의 88미리 대공포. 사진에서 보이다시피 원래 목적인 항공기보다도 전차를 더 파괴시킨 모습이 매우 흥미롭다)
훗날 이 무기는 방어를 위해 장갑을 덧대고, 또 운반의 편이성을 위해서 엔진도 달고 바퀴도 답니다. 그렇게 해서 매우 뛰어난 전차로까지 발전하게 됩니다.
(이 사진은 원래 대공포였던 놈이 전차로까지 변형되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영국 : 대공포로 전차를 부수다니 이건 반칙이다!)
전차 이야기도 좀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전차는 매우 튼튼한 장갑으로 보호되는 방패와도 같은 무기입니다. 일반적인 보병의 소화기로는 제압하기 힘들고, 폭발력이 큰 대전차류 무기나 같은 급의 전차가 상대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전차에서도 중요한 요소는 바로 '방어력'입니다. 전차는 아주 두꺼운 철판으로 보호되며, 이 때문에 무게도 상당히 나갑니다. 특히 전면장갑은 허구한날 적군의 공격을 받아야 하다보니, 장갑 중에서도 아주 두껍게 철판을 깔아서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이 전차의 장갑과 관련된 아주 간단하면서도 획기적인 발명이 한번 있었습니다. 바로 '경사장갑'이라는 것입니다.
(독일의 유명한 타이거 전차는 매우 두꺼운 장갑으로 훌륭한 방호력을 자랑했지만 지나치게 무거워서 기동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때까지 보통 장갑은 수직구조로 되어있었습니다. 그러니까 지면을 기준으로 했을때 장갑판은 그냥 기둥을 세운 것처럼, 수직의 각도로 평평하게 세워져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만약 100 mm의 장갑판을 정직하게 수직으로 설치하면, 딱 100 mm만큼의 방호력 효과밖에 기대할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소련에서는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얇은 장갑이 더 높은 방호력을 지닐 수 있게 응용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경사장갑'이 바로 그것입니다.
우리 고등학생들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다들 배우시죠. 대표적으로 30도, 60도, 90도로 만들어진 삼각형은 1:2:루트3 의 길이 비율을 가집니다. 이걸 응용해서 장갑을 수직하게 세우지 않고, 살짝 비스듬하게 눕혀서 전차를 만듭니다.
간단히 장갑을 살짝 눕혔을 뿐인데, 그 효과는 매우 큽니다. 장갑이 기울어지면서 적 포탄이 뚫고 들어와야 하는 장갑의 두께가 훨씬 더 두꺼워지는 효과를 얻게 됩니다. 100 mm의 장갑을 정직하게 수직으로 세우면 그냥 100 mm 두께짜리 철판인데, 50 mm짜리 철판을 비스듬하게 눕히니까 뚫어야 하는 포탄 입장에서는 100 mm짜리 철판을 뚫어야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아닛 거기서 삼각함수가? 장갑이 비스듬해지면 포탄은 빗변으로 진행해야 하므로, 얇은 장갑으로도 두꺼운 장갑 효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딱히 뭔가 신기술이 장갑에 적용된 것도 아니고, 그냥 단순히 눕히니까 얇은 철판의 방호력이 더 올라가는 효과를 얻게 됩니다. 이를 통해서 소련은 얇은 장갑의 가벼운 전차로도 더 높은 방호력을 얻는 발전을 하게 됩니다.
병기 이야기 말고 이제 전략 이야기도 잠깐 해보겠습니다. 다들 아마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마지노선'이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1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독일의 침공을 대비하기 위해서 프랑스는 거금을 들여 아주 튼튼한 고정진지를 국경선에 만듭니다. 지하 벙커에 보급품이 레일을 통해 공급되는 아주 막강한 방어선이었습니다.
세계 2차대전이 발발하고 나니, 독일군도 이 방어선을 뚫어야 프랑스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이 방어선을 정면에서 돌파하려고 하니 전력이 너무 심하게 손실될 우려가 있었습니다.
(프랑스가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 설치한 요새선 '마지노선' 그런데 다들 아시다시피 나중에는 무용지물로 전락합니다)
그래서 독일군은 한가지 기발한 아이디어를 냅니다. '돌아서 가자'
(결국 예상치 못한 우회로로 쳐들어온 독일군은 마지노선을 뒤에서 포위해버리면서 손쉽게 무력화해버립니다. 프랑스 출제진 : 아니 이 문제를 그렇게 쉽게 풀어버리면 난 어떡하라고?)
누구도 예상치 못한 아르덴 숲을 독일군 기갑부대가 전면에서 길을 뚫으면서 비밀리에 진격합니다.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튀어나온 독일군에 의해 후방이 고립되고 부대가 포위되면서, 결국 박살납니다. 프랑스가 자랑하던 마지노선은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점령당합니다.
이처럼 전쟁사에서는 간단한 아이디어, 간단한 발상의 전환으로도 매우 큰 효과를 얻은 경우가 왕왕 존재합니다.
마찬가지로 수험생들이 문제를 풀다 보면 아주 험악해보이는 문제들이 많이 있습니다. 식을 대단히 복잡하게 주었거나, 미분, 적분하기에는 너무 시간을 오래 끌만한 문제들. 이런 문제를 보고 정면에서 돌파할 생각보다도, 살짝 생각을 하고 우회해서 문제를 풀 수 있는 생각도 해야합니다.
막히게 된다면 아주 잠깐 생각해보고,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접근할 수 없을까 고민을 해야합니다. 출제자들도 분명 그렇게 무식한 방법으로 풀라고 강요할 리는 없으니까, 무언가 간단히 풀 수 있는 힌트가 있지 않을까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특히 과학탐구나 수학에서는 이런 경우가 많이 보입니다. 겉보기에는 아주 꼬아놓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계산을 강요한 것 처럼 보이나, 나중에 뚜껑을 열어보니 답을 내는 데에는 별 노력을 들이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아주 간단한 발상의 전환, 아이디어로 어려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지 않을까 고민을 한번 해보시길 바랍니다.
전쟁사 시리즈(약 11편 예정)
https://orbi.kr/00020060720 - 1편 압박과 효율
https://orbi.kr/00020306143 - 2편 유추와 추론
https://orbi.kr/00020849914 - 번외편 훈련과 숙련도
https://orbi.kr/00021308888 - 3편 새로움과 적응
https://orbi.kr/00021468232 - 4편 선택과 집중
https://orbi.kr/00021679447 - 번외편 외교전
https://orbi.kr/00021846957 - 5편 공감과 상상
https://orbi.kr/00022929626 - 6편 정보전
https://orbi.kr/00023174255 - 7편 실수와 인지오류
알고리즘 학습법(4편예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학습이란 무엇인가(11편 예정)
https://orbi.kr/00019535671 - 1편
https://orbi.kr/00019535752 - 2편
https://orbi.kr/00019535790 - 3편
https://orbi.kr/00019535821 - 4편
https://orbi.kr/00019535848 - 5편
https://orbi.kr/00022556800 - 번외편 인치와 법치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디가 더 차이 커요? 아무리 그래도 후자죠?
-
따로 안하는거같던데 우리학교만그런가
-
틀주의) 모교 1
3.1x~3.3x 서울대 수시일반 합격 사례 여럿 4.0~4.5 고대 수시 합격...
-
먼가 서울대 발표날이 평생 안올줄 알았는데 코앞으로 다가오니 너무 무섭네
-
군인인데 왜 의사라는 직업도 가슴이 뛰지.. 의대 버리고 왔는데 항상 안가본 길에...
-
좀 소심함 11
문제중에하나같음
-
지사약 다니는데 시급 4만원은 과한가요? 고2 과외해본 경험 있고 6 9 수능 모두...
-
깝 ㄴㄴ
-
옯아싸라서 아무도 안 달아주겠지 뻘줌해서 1분만에 글 내리겠지 ㅠㅠ
-
2점 중반 고대 가긴 하더라
-
의대증원 의반수생 뭐시기 하던데 그래서 입결에 변화는 어느정도 있었나요? 아직 결과...
-
ㅈㄱㄴ 한명의 사례이긴 한데...
-
프사변경 6
그냥바꾸고싶었어요
-
무물보 9
예
-
피곤헤서 그런가
-
매디컬 진학은 지둔땜에 ㅈ반평반 판정기준 되긴 힘들고 서울대 보내냐 못보내냐 봐야함
-
나는 당연히 10살 연상 10살이래봤자 30살임 근데 17살은 너무 애같음….
-
연치됨? 2
언 확 생윤 윤사 백분위 98 98 1 99 99
-
물리 할말 1
연대 산공 목표인데 물리가 1~2등급 나오도록 공부를 한다면 물리, 사문을...
-
반수생이고 휴학 하고 나서는 어차피 대구 안 있을 거 같은데 그렇다고 본가는 안 갈...
-
오르비에글쓴여자는 잠들었을때 요정이 남자로만들어주고 감. 이거 모르는사람 많더라 ㅇㅇ..
-
옯붕이 7명이서 하면 개 재밌을텐데...
-
면학 분위기가 똥망인건 기본이고 누가누가 공부를 덜했나를 가지고 싸우고 있음요.....
-
선넘질받도 괜찮아요
-
이건 진짜 말도 안돼 다시 일년 전에 그 힘들던 나날이 시작된다고?
-
우리 학교는 연대 고대 각각 한 명(문과) 이과 1등은 1.1으로 한양대 공대 메디컬 X
-
다른학과가 전년도에 비해 추합이 덜 돌려나요?
-
생윤 오답노트 0
생윤 오답노트는 어떤식으로 써야해요?ㅠ 공부 시작한지 얼마안되서 세세하게 알려주실 분 있나유...
-
이짤 너무 슬픔 3
이런느낌 알지 나만슬픈가
-
그냥 휴릅 때려 볼게 시간이 지나면서 알아주겠지
-
인터넷친구도 없고 현실친구도 없고 그래서 혼자 뽈뽈뽈 돌아다니긴하는데 외로운건어쩔수없는듯
-
이투스 무한패스 끊어놨는데 수강 강좌 숨기기만 되고 취소는 안되는데 어떻게 하는지를...
-
내 눈에 보이는 모든 사람이 남자임
-
평백 어느정도면 적정인가요?? 다른데는 어디 썻는지두 궁금합니다..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국어 기출 1
3모 전에 국어 기출들 풀어보려는데 평가원 기출만 모의고사 형식으로 모아놓은 문제집...
-
그럼 전 먼저 들어가봅니다 모두 굿밤
-
확신안드는거 영어 순서같음 나만그런가
-
이과고 과탐 둘 다 2 선택할건데 재수학원 어디가 좋나요? 재종, 기숙 위주로 추천 부탁드려요
-
괄호 왼쪽은 맞은개수고 오른쪽은 전체 문제 수에요 빈칸 1문제 (3/4) 순서...
-
코돈 개 ㅈ같네 3
열라 열심히 풀었는데 마지막에 코드/코돈/안티코돈 아미노산수/펩타이드결합수 이거가지고 장난 오지게침
-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예비고1입니다 궁금증좀 풀어주세요! 10
제목대로 이번에 지방에 살고있는 예비고1입니다. 제가 자사고에 떨어지게 되어서...
-
ㄱㄱ 나지금ㅈㄴ심심해
-
삼심해
-
ㄱㅁ은 아닙니다 251122 이거 검토 돌릴시간이 부족해서 못돌리고 OMR냈는데...
-
좋아요 안누르면 3
바보
-
영화 ㅊㅊ 좀 1
외로워서 오랜만에 애들 만날 껀덕지 좀 필요해서 그런데 ㄱㅊ은 영화 있음?
-
이거 예쁘죠 ㅠㅠㅠ 12
방금 힘들게 완성한거에요 못생겼다는 말은 ㄴㄴㄴ
폴란드침공과 아르덴공세는 도박이였죠
마틸다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