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문제가 "좋은" "어려운" 문제일까?(2편)
오늘은 오르비 닉 Evolved slave 님과 함께 합작 칼럼을 씁니다.
1편에서는 기출을 통해 보는 문제에 대한 생각, 어떻게 그것이 적용되는지를 다룬다면
2편에서는 기출에서 벗어나도 그것이 유지되는 문제와, 그러한 문제를 푸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다룹니다.
아주 어려운 문제이니 풀어보시고 못풀어도 좌절하지 마시고
읽으시면 도움될 겁니다.
문제는 본글에 있고 밑에 링크는 1편입니다.
노예님께서 생각하는 문제라던지 기본적인 문제에 대한 틀은 너무 잘 제시해 주셔서 제가 이렇게 확장된 내용을 바로 펼칠 수 있지 싶습니다.
이다. 일단 확실한 것부터 해보는 것이다. a가 최대이려면 양수이지 않을까 라는 생각부터 해 보자. 일단 k가 0 이하일 때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k=0일 때 조건을 만족하려면
인 a에 대해서
이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2개의 첨점이 생기게 된다. 이때 증가 조건에 따라 a=0을 얻으며, f(0)=0을 얻는다. 이때 g(x)가 서로 다른 2개의 해를 가질 경우, 극솟값을 갖는 점의 x좌표를 b, 두 해를 각각 a,c라 하자. 모든 음수 p에 대해서 p=k일 때도 조건이 성립하므로
Mg(b)>f(b)인 절댓값이 아주 큰 음수 M을 반드시 찾을 수 있다. 또한
f(c)f^-1(c)=f(a)f^-1(a)=0인 경우가 불가능하므로(해가 0 하나뿐이므로) 반드시 함수
f(x)f^-1(x)와 Mg(x)는 Mg(x)가 감소하는 구간에서 교점 하나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g(x)는 두 개의 해를 가지지는 않는다. 만약 g(x)가 실근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
로 문제를 바꾸어 생각할 수 있다. 이때 k가 어떤 양수라면
가 되는 k가 무한히 많기에 삼중근이, 2중근이 무한하게 생겨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 함수의 최솟값은 0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k가 0 이하인 경우는 만족한다. 즉 우리가 구하는 a는 0보다 작지는 않다.
그렇다면 a가 양수인 경우는 없는가? 아직 우리가 따지지 않은 “중근” 케이스를 따져 보면 결과가 나올 것이다.
이라 하면 a가 0이 아닌 경우 이 역시 절댓값을 씌울 경우 미분불가능하게 되는, 증가-감소 교점이 생김을 쉽게 증명할 수 있다. 따라서 a=0이며, 이 경우 g(x)=x^2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다.
인 k가 최대가 되는 경우를 찾는 것 아니겠는가? 그러니 이렇게 해 보는 것이다.
흠 적분을 해 보면 어떨까?
적어도 어떤 c에 대해서 가 성립하므로, 즉 함수 가 최소인 x를 c라 함으로써
와 같이 쓸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 우린 함수 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 함수는 t=0에서 함숫값 0을 가지며, 따라서 g(t)=2kt와 t=0에서 교점을 가진다.
이때 이 교점의 성질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다. 라 할 때,
h(0)<2k이면 h(0)=2임을 계산을 통해 알 수 있으므로 1<k라고 가정하는 꼴이다.
이렇게 되면 함수 가 x=0에서 극댓값 1을 가지고, 따라서 함수의 최솟값은 1보다 작아진다. 하지만 최솟값 k가 1보다 크다고 가정했으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k<=1이며, 일단은 k의 최댓값은 1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k=1인 경우에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자.
일단 x=0에서 가 함숫값 1을 가지므로 x=0에서 최소가 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x=0에서 극소여야 한다. 즉
가 t=0을 기준으로 부호가 음->양으로 바뀌어야 한다. 하지만 h(0)=2=2k이므로 h’(0)=0이 되어 함수
가 t=0에서 적어도 변곡점은 가져야 직선이 “관통” 하여 부호변화가 일어나기 위한 필요조건을 만족한다.
조건대로 계산하면 라 할 때 a=0 또는 b=1을 얻는다.
여기부터 몇가지를 정리하고, 대수적으로 증명을 마치고 나면 문제는 쉽게 풀린다.
진짜 잘 풀지 않았는가? 이걸 보면 누군다는 대수적으로 푸는게 최고라고 외칠 것이고, 누군가는 기출문제의 아이디어에서 많이 벗어나 있어서 실제로 출제되긴 어려울 거라 말할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풀어보는건 어떨까?
를
와
의 곱으로, 즉
두 함수의 이른바 “기울기함수” 의 곱으로 보는 것이다.
칸이 부족한 관계로(너무 길면 사람들이 안 읽는다) 자세한 문제풀이는 생략한다. 요청이 많으면 하겠지만, 직접 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이젠 기출이 최고다 라는 말이 터져 나올 차례인가?
흥미롭게도 기출 문제집의 저자들도 이 문제를 못 풀었다. 그 사람들은 여러분보다 기출을 훨씬 더 잘 이해하고 있지 않은가? 그들도 실패했는데, 여러분들이 기출을 더 많이 본 상태에서 저 문제를 봤다면, 성공했을까?
참으로 이상하지 않은가?
분명히 공부할 땐 저러한 내용들을 얻는 건 다 마무리했다고 생각했는데. 문제도 다시 풀어보니 맞았는데. 어째서 기출의 아이디어든 대수적인 처리 방식이든 어떤 “아이디어” 가 이렇게 맥을 못 출까? 그리고 과연 이 문제는 의도가 있을까?
사실 의도가 있다.
내가 처음 문제를 푼 방식은 이러했다.
기본적인 해석 자체가 어렵다. 역함수에 9차함수까지 엮여 있어서 미분법으로 해석하는 것 자체가 까다로울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개형을 살필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은가? 미분법이 안된다면 개형을 살펴야지. 개형을 살피는 것의 기본은 우리가 개형을 잘 아는 단순한 함수를 끌고 오는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일한 정보인 f(0)=0을 이용하면
를
라 할 때
와 같이 쓸 수 있다. 이때 개형을 살피기 위해서 이차함수는 한쪽으로 빼 놓고, 그것과
의 곱으로 함수를 해석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여기에서 단순성이라는 기본 원리가 사용된다는 것이다. 단순하게. 이차함수로 생각하는 것이다.
위 그림에서 이차함수의 극값을 C라 하면 파란색 함수, 즉의 극값은 1/c가 된다.
에 f(x)를 합성한 것이 이차함수의 역수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림을 그려서 생각해 보면 총 3가지 케이스를 생각할 수 있다. 이차함수 극값의 x좌표와 일치, 이차함수 극값 x좌표가 오른/왼 쪽에 있는 경우.
이중에서 흥미롭게도 2가지 케이스에서는 최선으로 얻는 결론이 최솟값이 1보다 작다 이고(직접 해 보고 모르겟으면 댓글을 달자), 나머지 하나에서는 최솟값이 1 이하이다 라는 것이다. 초점을 잘 맞춘 결과이다.
이것을 따라가면 1번 풀이의 a=0, b=1과 동일한 식을 얻는다.
내가 문제를 만들 때 이렇게 생각을 했을까?
난 이렇게 생각을 했다. 하지만 평가원은 이걸 가르쳐 줄까? 입을 완전히 닫고 있다.
설사 그걸 안다고 해서, 이 3가지의 서로 비슷한 난이도의 해설 중에 우위란 것을 정할 수 있을까? 아니다.
결국 뭘까?
결국 해설은 무의미하다. 더 정확하게는, 해설의 유일성은 무의미하다.
문제의 성격은 무의미하다.
기본적인 틀 안에 엮여 있기 때문에 어떻게 푸는지는 무관하다.
다만 자기에게 맞는 대로 하면 되는 것.
그러나 분명한 한계는 있다. 집합 단순화 원리나 대수적인 해석과 같은 방법은 여전히 고개를 끄덕이게 하지만, 그 유명한 기울기함수는 잃어버린 총알처럼 작용했다.
깔끔하고 계산도 적고, 생각을 많이 한다라는 수능의 기본적인 틀을 지키면서 아무도 못 풀 정도로 고난도의 문제를 만들었는데, 셀 수도 없이 많은 변형문제(오르비에도 아주 많다)를 생산하게 한 “기울기함수”를 분명히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임에도, 심지어 그것을 주제로 글까지 생산한 사람들도 이 문제를 기울기 관점으로 보는 데 실패했다.
그래서 여러분은 기출과 사설을 분리해서는 안된다. 기출과 사설을 분리하지 않으면서, 둘을 함께 보면서, 생각 자체를 강하게 만들어나가는 축으로 끌고 나가야 하는 것이다.
다만 생각을 통해서 스스로의 생각을 바꾸는 것이 중요하고, 어떤 것이 유일하고 정확한 생각일지는 생각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보다시피 기출만능론은 이 문제로 쉽게 부정이 된다.
그렇기에
"생각을 많이 하게 하는, 오직 생각과 기존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하는 문제를 많이 풀고, 그를 또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걸 하게 만드는 문제가 좋은 문제이다."
참고로 문제 답은 30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65세이상 어르신계층 면허반납하면 40만원에서 많게는 얼마 이런식으로 정부에서...
-
진짜임
-
맨날 지각해더 뭔가 환자의 병리적 현상같아서 덜 쪽팔림
-
지금은 정상됐어요
-
180전후로 키크다 아니다 나뉘는듯
-
정확하지 않은 비유이지만 갑자기 모 고닉의 중경외시 저능아드립이 생각나네요
-
우울글 쓰면 더 우울해져
-
그럼 자발적으로 매일 떨어지면 무한으로 클 수 있는거야???
-
고교 졸업증명서 학교 행정실가서 바로 받을 수 있나요?
-
회계원리 공부 시작하려는데 인강이나 등등 추천해주세요!!!! 1
회계에 대해서 아무것도 몰라요… 이번에 회계학과 가서 회계원리부터 공부하려는데...
-
벌써 마감임?? 아니 그럼난어떡하라고
-
기네
-
국장 합격함 3
1학기 등록금 공짜….! 물론 의미가 없을 것 같긴 하지만…
-
웬만하면 암산으로하고 효율적인 방법 생각하면서 풀고 이래서 수학실략이 오르는...
-
다운펌 ㄱㄱ 4
밥먹고 가야지
-
나도 그 옆에서 아무것도 모르고 순수해지고 싶기 때문이다 상처, 괴로움 그런 것들은...
-
이미지 평가좀 6
컨셉 너무 병신같나요
-
장학금나오네 13
점공에 동점자 있었는데 내가 차석이려나
-
살 어떻게 뺌? 4
3월 전까지 확 빼고싶은데 유산소 많이 하는걸로 되려나
-
나 175인데 주변에 180대 남자 너무 많다 걍 길 걸어보면..
-
스티커 -> 가방으로 바뀌었네요 스티커가 뭔 저런걸 주냐고 이곳저곳에서 욕을 엄청...
-
의도분석하고비슷한문제찾고하는거너무멋잇서 나는딸깍풀고 치우는데ㅠㅠ 그래서 점수가 그런가봐…
-
ㅋㅋㅋ
-
이미지 써줌 55
금기의 글 오픈 지금은 사람 없으니까 괜찮겠지
-
지리 역사 둘다 암기과목으로 알려져있는데 어떤 암기과목이 더 나은가요
-
얼버기 2
안녕하세요
-
으흐흐흐흐
-
사탐 연고공vs한의 10
뭐가 더 어려븜 두어달 전에인가 물어봤었는데 또 까먹음
-
아니면 먹어서 이정도인건지
-
좆 됐 다!!!
-
닉변 끝 3
-
자각몽에서 자살함 12
이쩌다보니 현실의 집과 완벽히 똑같은 장소에서 스폰되었는데 자각몽인지 현실인지...
-
항우울제는 신임 1
우울증때메 지능도 떨어진 것 같아서 반신반의하며 먹었는데 생각이 심연으로 안 가서...
-
[칼럼] 정의 2
안녕하세요. 다들 수능 준비는 열심히 하고 계신가요? 저는 복학 준비로 여러모로...
-
평균 훌쩍 넘음 0
?
-
쌤이 안그래더 콘서타 비슷한 항우울제 넣어주셨다고 하긴 했는데
-
(본인이 n축이라 말함) 스블 수1 23강
-
풀이방법은 ㅈㄴ똑같거든 위에 문제는 각각의 실근은 중근이다.라는 표현이 있는데 왜...
-
지인들한태 안 뜨나요?
-
통학으로 다닐 예정이고 두 학교까지 대중교통 소요시간은 같습니다. 두 학교 모두...
-
웹툰 봐야지 1
세트업, 재밋겟다
-
목동. 시대 재종 평가원 전형 문자 오셨나요?
-
하....
-
홍대 1차 추합 1
홍대 공대 1차 추합때 보통 얼만큼 빠지나요??
-
숫자정리가안돼 ㅠㅠ
-
기만 3
차단
-
키빼몸 105 0
-
단 t는 f위의 점이에요!
-
전제:체지방률 12퍼
-
엄마 2년전에 먕퇴했는데 걍 아직도 은행 다닌다고 함 ㅋㅋㅋㅋㅋ
우왕~맞았당 덕코!!''-''
"풀이"
알아요ㅠㅠ 덕코는 다음 생에...
엌ㅋㅋ
귀류로 구질구질하게 풀었었는데 해설은 너무 깔끔하네요.. 허탈
ㅋㅋ 그게 핵심이죠
마법따윈 없다
질문없나오
뭔진 모르겠지만 자베르추
우웅 읽어보라구...
수학
재능빨게임
응 아니야 ㅋㅋㅋㅋ
그걸 정면으로 반박하는게 이글인데? ㅋㅋ
![](https://s3.orbi.kr/data/emoticons/oribi_animated/007.gif)
수1하고있다가 이거보니까 어우.....앞길이 막막하네요미친...
문제 선보인것도
나중의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장치였네요ㄷㄷ
지렸습니다
감탄..
질문 없으신가요
저거 수식꼴 자체를 그낭 (f(x)-x)(f역x-x)꼴로 봐꿔서 볼려고 했는데 작성자님이 의도하신건 기울기였네요 ㄷㄷ
의도 자체는 없다는...
좋은 글이네요.
읽지는 않았습니다.
이거 수험생이 풀 수 있는 문제인가요?
당근빠따죠
미적 선택자만 ㄱㄴ?
뭐지 이거,,,사람이 푸는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