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모의평가 국어 문법 14번(문법 오답률 1위) 완벽한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leave.orbi.kr/0003700451
6월 모의평가 14번 해설.pdf
6월 모의평가 14번 | 아라쌤의 너무나도 쉬운 문법 강의 |
수험생 여러분 안녕하세요~^ㅡ^
오르비에서 수능국어만점비법(http://class.orbi.kr/class/29/)과 문법꼭꼭씹어먹기(http://class.orbi.kr/class/28/) 무료 강좌를 진행하고 있는 아라쌤입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살펴볼 문제는 이번 6월 모의평가 문법 14번 문제입니다.
14번 문제는 아래의 EBS 정답률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국어 A형에서는 3번째, B형에서는 2번째로 낮은 정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먼저 문제를 한 번 더 풀어볼까요??
(내용 전체를 파일로도 올렸으므로 파일로 다운 받으셔서 보셔도 됩니다.^ㅡ^)
이미 분석을 해 본 학생들도 있겠지만 이번 문제는 높임법(주체 높임법,상대 높임법, 객체 높임법)을 물어본다는 측면에서 2005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13번 문제와 주제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제가 “문법 꼭꼭 씹어 먹기” 강의에서 강조했듯이 출제되는 문법 문제의 수가 증가했지만, 출제 가능한 주제는 이전의 기출문제(수능, 모의평가)에서 대부분 다 출제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이 문법을 공부하는데 있어서도 가장 우선적으로 살펴봐야할 주제는 이미 수능과 모의평가에 출제되었던 문법 원리입니다.
그럼 2005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13번 문제와 함께 높임법에 대한 공부를 해보도록 할까요?
번호 | 정답 | 오답률 | 선지별 선택비율 | ||||
① | ② | ③ | ④ | ⑤ | |||
13 | ⑤ | 83% | 4% | 2% | 6% | 3% | 83% |
두 문제의 공통적 주제인 높임법에 대한 문법적 원리를 간단하게 표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 개념 | 특징 | |
상대 높임법 | 말을 듣는 청자를 높임 (듣는 이를 낮추는 것도 포함됨 -해라체, 하게체) | 해라체(낮춤) | |
하게체(낮춤) | |||
하오체(높임) | |||
하십시오체(높임) | |||
주체 높임법 | 서술어의 주체를 높임 | 높임 선어말 어미 ‘-시’에 의해 실현됨. | 직접 높임: 주어를 직접 높임 |
간접 높임: 주어와 관련된 대상을 통해 주어를 간접적으로 높임 | |||
객체 높임법 | 서술어의 객체(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를 높임 | ‘드리다, 뵙다, 모시다, 어쭙다, 저’ 등의 높임말, 낮춤말에 의해 실현됨 |
그렇다면 이제 걱정이 생길 수 있죠? 이런 문법적인 원리들을 모두 암기하고 시험장에 들어가야 하는 것일까요?
물론 앞서 강조했듯이 출제 가능한 문법적인 원리들이 이미 대부분 기출문제에서 출제되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공부한 후 다른 문법적인 원리들까지도 학습한다면 좀 더 자신감 있게 시험에 임할 수 있겠죠?
하지만 그러기엔 여러분의 학습 부담이 너무 증가합니다. 게다가 더욱 큰 문제는 수능 문법 문제는 여러분이 어려운 문법 지식을 얼마나 많이 암기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문법적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때문에 문법 문제의 수능적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않다면 문법 공부를 아무리 많이 하더라도 틀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다음 문제를 함께 살펴볼까요?
낯익은 문제죠? 여러분이 작년에 쳤던 예비평가 국어A형 12번 문제입니다. 이번 모의평가 14번 문제와 주제는 전혀 다르지만 문제가 갖고 있는 수능적 원리는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집중!!
12번 문제는 <보기>에서 문법적 원리를 설명해 주지는 않았지만 선택지를 잘 살펴보면 결국 목적어와 관련된 문제이긴 하지만 주어, 서술어, 목적어에 대한 구분을 제대로 할 수 있는지가 관건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선택지 3번이 틀린 이유도 ㉤에서 생략된 것은 목적어가 아니라 주어라는 점이죠. 이처럼 우리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잘 이해하고 선택지의 구성 원리를 파악한 후 틀린 내용이 나올 수 있는 포인트를
잘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질 것은 안 따지고 안 따져야할 내용을 따질 때 주관적인 오답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럼 다시 이번 모의평가 14번 문제를 살펴볼까요?
우리가 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필요한 문법적 원리를 암기하고 올 것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보기>에서 다음과 같이 모두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주체 높임법은 주어가 나타내는 대상인 주체를 높이는 것이며, 상대 높임법은 대화의 상대인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는 것이고, 객체 높임법은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가 나타내는 대상인 객체를 높이는 것이다.”
그럼 우리는 틀린 선택지를 만들 때 사용될 포인트가 되는 기준을 잘 정리해서 이해해야겠죠? 다음과 같이 정리해 봅시다.
①주체 높임법: 주어가 나타내는 대상인 주체↑
②상대 높임법: 대화의 상대인 청자↑or↓
③객체 높임법: 목적어나 부사어가 나타내는 대상인 객체↑
이제 출제 위원의 입장에서 생각해 봅시다.
결국 예비평가 12번 문제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틀린 선택지를 만드는 방법은 우선 선택지 ②번, ③번, ④번과 같이 주체를 객체라고 하거나 객체를 주체라고 하는 방법이 있겠죠.
그리고 이번에는 한 가지 방법이 더 있다는 거 눈치 채셨나요? 주체 높임법과 객체 높임법의 경우 높이기만 하지만 상대 높임법의 경우 높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낮추기도 하므로
이것이 또 하나의 포인트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선택지 ①번의 경우 이를 이용해 오답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자~이처럼 여러분이 문법 문제에서 완벽해지기 위해서는 단순히 문법적인 원리에 대한 공부만 열심히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에요.
오히려 그보다 중요한 것은 문법 문제가 출제되고 선택지가 구성되는 원리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한 문제에 대한 해설이 너무 긴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이번 해설을 통해 여러분이 앞으로 문법을 공부할 방향을 제대로 설정하고 좀 더 완벽한 국어 실력을 갖추길 바랄게요.
그리고 이번 모의평가 문제들 중 정답률이 낮은 다른 문제들에 대한 해설과 강의도 곧 준비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여러분 모두 끝까지 파이팅!! ^ㅡ^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5년째인디..
-
이걸로는 부족해 다 가보고싶어
-
그 친구 내년에 고3인데.... 수연아 크아아아아아아악
-
7점이 높은데 갑자기 8점이상 컷이 터질일은 없다고 봐야겠죠? 이번에 안가면 ㅈ되는데
-
계산해봤는데 수학 하나 맞아서 만점이였어도 최초합은 안되네
-
현역 56357 재수 65344 삼수 55434 그만해야되겠죠? 관리형 독서실...
-
4코인은 못 넣는데
-
뭐때문인가요
-
으윽
-
입김불어서 담배피는척하기 ㅋㅋ 난 그걸 스무살 먹고도 하고있음ㅋㅋㅋ 뭔 느낌일지...
-
스트리머 한분이 101번이던데
-
내 대학은 저능하다고 언급되지도 않는게 너무 슬퍼
-
왜 나 저능부엉이는 행보칼수가 없어
-
나쁜길로이끈것같아요
-
군대와보면 됨 본인이 얼마나 우물 안 개구리 였는지 깨닫게 될거임 아니 걍 학벌을...
-
또 너야? 강민철? 또 경영 너야? 그저 경병ㅋㅋ
-
옯창이 아니라 다행인건가
-
오버워치재밌다 1
히히
-
삼수 실패 후기 1
쓰면봄?
-
추가합격 0
1.소수과 중(5~10명 뽑는학과)에서 어떤과는 추합이많이돌고 어떤과는 추합이 덜...
-
치뱃 나왔다 1
엄청 빨리 해주네 ㅎㅎ
-
사귀고싶은 밤이군아
-
교환하실 통통이분 있으신가요 수1 수2 미적 모두 가능한데…
-
이새끼 뭐임? 3
-
나도 알아
-
김범준 광클 5
수1 하나 먹었는데 이거 강좌랑 같이 사야 한다는데요...?
-
저능아 입갤 13
저메추 좀
-
ㅣㅢㅢㅡㅢㅢㅢㅣ
-
광클 개어렵네 1
피방가서 각잡고 해야하나 ㅋㅋㅋ
-
우원식 의장, 하얼빈서 시진핑과 별도 만남…APEC 등 협력 당부 4
[베이징=뉴시스]박정규 특파원 = 중국을 방문 중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7일 2025...
-
ㄱㄱ
-
아이폰 시계 초침 보다가 58초 쯤에 새로 들어가서 신청해야 잘됨 대성마이맥 이벤트...
-
하와와 여르비 ㅇㅈ.. 14
뻥임뇨 우흥~
-
본적이 없네요
-
가물가물가물치노래를한다 솔직하재밋지않음? 내가얼마나 열심히써낸 펀치라인인데
-
시발 저때생각하니까 눈물남...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기다려볼만함??
-
매우 좋은 영상이라고 생각함 윤도영 싫어해도 이영상은 볼만함
-
절대로 내가 동홍을 썼다가 노예비 떨이여서 그런게 아님 ㅇㅇ
-
1순위 대학에 최초합해서 나머지 두 개는 등록 안 하고 싶은데, 하나는 예비 받아서...
-
왜 8번이랑 5번 사이에 3명이 있는거임? 누가 마피아야!
-
미적분 마감되서 아무거나 막누르다가 확통 신청됨 ㅅㅂ ㅋㅋㅋㅋㅋ
-
미적종합반 뭐 하는반인가요 미적이랑 미적 종합 둘다 듣는게 낫나요
-
[속보]대통령실 “해외 투자 유치로만 추가 탐사시 국익 손실” 1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속보]대통령실 “해외 투자 유치로만 추가 탐사시 국익 손실”
-
움하하핳
감사히 잘봤습니다!^^ 문법적인 지식이 부족하다고 느낌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다 맞추었네요 .. !! 문법적인 지식이 부족하니까 문제 분석할 ㄸㅐ 어려움을 많이 겪어요.. ㅠㅠ어떡하면 좋을까요???
수능과 모의평가 기출문제에서 이미 출제된 문법적인 원리부터 점검해 보시구요~EBS에서 나온 <인터넷 수능>화법과 작문&독서와 문법이라는 책이 연계 교재니까 그걸로 공부하시면 될 거에요
^ㅡ^ 제가 오르비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법꼭꼭씹어먹기(http://class.orbi.kr/class/28/) 무료 강의도 꼭 한 번 들어보세요~~^ㅡ^ 또 궁금한 거 있음 언제든지 질문해 주시구요~~홧팅!!
감사합니다.
그런데 질문이 있습니다.
이번에 '예사소리'나 '서술어의 자리수'등 이전 기출문제에서 나오지 않았던 문법적 개념들이 나오고있는데
이건 어떻게 대비를 해야할까요? n수생이라 기출문제만 보고있었는데 문제를 풀면서 당황을 많이 했습니다.
특히, 예전같은 경우에는 보기에서 예시로 주어졌기때문에 추론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번엔 그런것도 없이
'당연히 암기해야할 것'처럼 어떠한 설명도 없더라구요.
그래서 국어영역 인터넷수능 A 작문/화법/문법 이 책을 샀는데 이 책이 문법을 모두 아우를 수 있을까요?
네 ^ㅡ^ 다른 문제에서도 설명해 드리겠지만 문법도 수능적 원리가 중요하지만 문법 문제의 특성상 반드시 공부해야될 문법 개념이 존재합니다.
기출 문제들을 통해서도 접해보지 못했던 문법적 지식들이 출제되었기에 당황할 수 있는 것도 당연하구요^ㅡ^
제가 생각하기에는 기출 문제에서 활용되었던 문법적인 원리들과 함께 EBS에서 나온 수능 연계 교재인 <인터넷 수능>화법과 작문&독서와 문법이라는 책을 통해 공부하시면 될거에요.
A형 치시니까 A 구입하신거 맞죠? ㅎㅎ 그리고 제가 오르비에서 진행하고 있는 문법꼭꼭씹어먹기(http://class.orbi.kr/class/28/) 무료 강의도 꼭 한 번 들어보시면 좀 더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 봅니다. ^ㅡ^ 또 궁금한 거 있음 언제든지 질문해 주시구요~~홧팅!!
난 왜 딴건맞추고 15번을틀렷을까 헿홓헿헣
ㅎㅎㅎ 왜 그랬을까요?? 근데 국어는 실수에도 분명히 원인이 있을 수 있고 만약 주관적인 생각으로 오답을 골랐다면 그 상황에서 어떤 것을 기준으로 그런 생각을 했는지
그리고 앞으로는 어떤 방법으로 그런 주관적인 오류에 빠지지 않을 수 있을지 정확하게 해결하고 넘어가셔야 해요~~^ㅡ^ 한 번 점검해 보시구요~의문이 생기는 부분이 있으면 또 질문해 주세요~
담 번엔 꼭 전부 다 맞아버리자구요~~^ㅡ^ 홧팅!!
이거 객체이면 을,를 넣어서 읽고 주체이면 은는이가 등으로 바꾸어 넣어도 괜찮은 건가요?
오호라!! ^ㅡ^ 주체는 주어를 높이는 것이니까 그런 방법을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겠네요~ 근데 객체 높임법의 경우 목적어만 높이는 것이 아니라 부사어도 높이는 것이니까 부사어의 경우에는 적용이 안 될 수도 있어요~ 그래도 주체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손쉬운 방법으로는 사용해 볼 수 있겠네요~~굿!! 홧팅이에요~~^ㅡ^
정말 감사합니다
네에~~^ㅡ^ 열심히 봐주셔서 저도 감사해요~~끝까지 함께 홧팅해요~~^ㅡ^
국어는 실력도 실력이지만 실수 안하는 것도 중요한 것 같아요...3번까진 적절한 거 찾다가 좀 어렵네..한숨 쉬고 4번 보고 앗 틀렸다!! 하고 고른..
거의 2번에 한번 꼴로 이런 실수 하는데..정신통일!!
반드시 문두를 잘 읽고 그래도 실수하신다면 문두에 읽으면서 '틀린'에다가 엄청 크게 동그라미나 별표 치고 푸세요 ㅎㅎㅎ 홧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