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에게 과외 받지 마십시오
저는 수학을 정말 못했었습니다. 예전에 말씀드렸다시피 항상 4~5등급이 나왔었죠. 그러다가 어느 순간 재수학원에서 깨달은 바를 바탕으로 공부를 제대로 하기 시작했고, 결국 1등급을 맞았습니다. 그러한 깨달음은 <수국비>에도 녹여서 책을 썼습니다.
제 친구 중에 서울대를 가고, 대학원을 스탠포드로 간 아주 머리 좋은 친구가 있습니다. 한번은 저랑 같이 대화를 하는데, 저를 칭찬해준다고 이런 말을 해주더군요.
서울에서 학부모들이 착각하는 것이 있다. 바로 자녀들을 서울대생을 비롯하여 매우 뛰어난 학생들에게 과외를 맡기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면 안된다. 실질적으로 자녀들이 과외를 통해 성장을 할려면 너처럼 바닥을 찍었다가 맨 위까지 올라가본 사람한테 과외를 맡겨야 한다고요.
저 또한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야기를 좀 해보겠습니다.
제가 오르비를 알게 되고, 오르비에 글을 쓰기 시작하고, 오르비를 통해 <수국비>를 출판하게 된 계기가 바로 <수학의 명작>이라는 아주 좋은 수학책입니다. 제가 한창 4등급에서 고전을 면치 못할 때 아주 우연하게 재수학원 선배 형님이 이 책을 푸시는 것을 보았는데, 보니까 정말 내용이 좋더군요.
기초부터 심화까지 아주 탄탄한 책이었습니다. 수학의 기본기가 다져지지 않은 학생들에게, 처음부터 하나씩 어떻게 생각을 하기 시작하는지, 힌트를 보고 무슨 생각을 떠올려야 하는지, 저를 포함해 여러 학생들이 가진 오개념이 왜 치명적인 약점이며 이걸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등등.
저는 한때 수학에 대한 허영심이 있어서, 무조건 어려운 문제집과 어려운 수업만 찾아다니던 적이 있었습니다. 필기는 열심히 했었으나 대체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없었고, 의미없는 삽질만 반복했습니다.
그러나 저에게 딱 맞는 수준의 책을 찾고 나서야, 중하위권 학생에게 필요한 기초 개념부터 시작하는 책을 접하고 나서야 발전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여러분 무조건 어렵고 심화된 수업과 내용만 공부한다고 실력이 느는 것이 안닙니다. 자신의 수준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기본기를 다지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제 고등학교 동창 중에 수학을 미친듯이 잘하는 학생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친구는 풀이 과정을 거의 적지도 않으면서 머릿속으로 빠르게 푸는 스타일이었습니다. 제가 당시 수학이 4~5등급이었는데, 이 친구한테 과외를 받았었으면 제 등급이 올랐을까요? 전혀 아니라고 봅니다.
그 친구의 머릿속에는 이미 기본적인 개념과 해야 할 일들이 자리잡혀 있어서(<수국비> 식으로 표현하자면 알고리즘, 시냅스가 이미 충분하게 잡혀있어서) 굉장히 생각하는 속도도 빨랐고 정확했습니다. 그렇기에 풀이로 끄적이는 문자도 굉장히 간결했죠.
그 친구가 머릿속에서 수없이 많은 과정을 밟는 것을 제 실력으로는 따라갈 수가 없었습니다.
제가 여태 칼럼으로 영어에 대해서 연재를 한 적이 거의 없습니다. 아니, 언급을 한 적이 거의 없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영어가 너무너무 쉽기 때문입니다. 한번도 영어 1등급을 놓쳐본 적이 없을 정도로 영어에 대해 타고난 감각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 영어를 남들에게 가르칠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제 영어에 대한 감각을 도저히 초보자한테 가르칠 엄두가 나질 않길 바랍니다. 아니 당연히 여기에 이 문장이 와야하는데, 이걸 왜 이해 못하지? 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지난번 조정식 선생님을 언급한 칼럼에서처럼, 전 영어가 아무리 베베 꼬이고 어렵게 나와도 쉽게 풀어냅니다. 추론이 필요한 영역에서도 전 순식간에 그 본뜻을 파악하고 넘어가기 때문이죠.
그래서 역설적으로 제가 제일 잘 하는 과목은 영어지만, 영어를 남에게 가르칠 생각을 해본적이 없습니다. 기껏 가르쳐봤자 영어 단어 뜻 외우는 것 정도나 가르칠 수 있겠네요. 마치 수학 천재였던 제 친구처럼, 전 영어에 대해서 타고난 감각이 있고 선천적으로 1등급을 항상 맞는 실력과 재주를 가지고 있기에 남에게 가르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제목에서 '천재에게 과외받지 마십시오' 라고 말한 것입니다. 타고난 천재들, 처음부터 최상위권으로서 서울대나 포항공대 카이스트에 간 학생들은 오히려 남을 가르치는 능력이 떨어질 확률이 대단히 높습니다. 그 사람들에게는 당연한 것이 과외를 받는 중하위권 학생들에게는 도저히 이해가 가질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까 아무리 좋은 선생님, 뛰어난 천재를 과외를 붙여도 자녀분의 실력은 늘지 않는 것입니다.
만약 본인이 중하위권이고, 기초가 필요하다면 밑바닥부터 맨 위까지 올라간 사람을 유심히 살펴보고 찾아보세요. 그 사람들은 중하위권 학생들이 무엇을 고민하고 무엇을 못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솔직히 저도 영어를 못하는 학생들, 특히 절대평가까지 된 영어를 제대로 못하는 학생들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아니 리스닝은 그냥 집중해서 들으면 다 답이 나오고, 지문들도 읽고 이해해서 풀면 그만인데 왜 그걸 못하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절대로 실력에 대해서 허영심을 부리지 마십시오. 자신의 실력이 어느정도인지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그 수준에 맞는 선생님을 찾으셔야 합니다. 처음부터 최상위권이었던 학생들은 여러분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제가 영어에서 그러듯이요.
상위권 학생이야 최상위권을 가기 위해서 화려한 스펙의 뛰어난 타고난 천재들에게 과외를 받으면 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은 중위권이 상위권으로 가기 위한 튼튼한 기본기입니다. 그 기본기를 가르칠 수 있는, 밑에서부터 올라가본 선생님들을 찾아보세요.
그런 의미에서 <수국비>도 추천드립니다 :)
<수국비 상>
https://docs.orbi.kr/docs/7325/
<수국비 하>
https://docs.orbi.kr/docs/7327/
알고리즘 학습법
https://orbi.kr/00019632421 - 1편 점검하기
https://orbi.kr/00054952399 - 2편 유형별 학습
https://orbi.kr/00055044113 - 3편 시간차 훈련
https://orbi.kr/00055113906 - 4편 요약과 마무리
사고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56551816 - 1편 바둑과 수싸움
https://orbi.kr/00056735841 - 2편 예절
https://orbi.kr/00056781109 - 3편 자유로운 직업세계
https://orbi.kr/00056882015 - 4편 따라하기
https://orbi.kr/00057164650 - 5편 어린 놈들이 약아서
https://orbi.kr/00057384472 - 6편 자기 스스로를 알아차리기
https://orbi.kr/00057614203 - 7편 체력분배
https://orbi.kr/00057650663 - 8편 수학적 상상력
https://orbi.kr/00057786940 - 9편 편견깨기
https://orbi.kr/00058147642 - 10편 시냅스, 알고리즘의 강화
https://orbi.kr/00060975821 - 11편 자문자답
https://orbi.kr/00061702648 - 12편 '박영진 이혼전문변호사'를 통해 재밌게 알아보는 법률 이야기
https://orbi.kr/00062050418 - 13편 수능 국어 공부
https://orbi.kr/00062206444 - 14편 현우진이 말하는 독해력과 사고력
https://orbi.kr/00062298282 - 15편 교수 면담
https://orbi.kr/00062328444 - 16편 관세법과 일관성
https://orbi.kr/00062406700 - 17편 말하기 공부법
https://orbi.kr/00062419084 - 18편 공부 못하면서 허세 좀 부리지 마십시오
https://orbi.kr/00062495541 - 19편 법조인에게도 필요한 수능 국어 비문학 독해력!
https://orbi.kr/00062583015 - 20편 - 전쟁에도 유형이 있다
https://orbi.kr/00062643940 - 21편 국어, 수학, 과탐 공부 이렇게 해보십시오
https://orbi.kr/00062818762 - 22편 똑똑하고 재능이 있다는 것은 노력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https://orbi.kr/00063239512 - 23편 어려운 문제도 잘게 쪼개면 풀 수 있다!
https://orbi.kr/00064157242 - 24편 리터러시(문해력, 독해력)이란 무엇인가
https://orbi.kr/00064692514 - 25편 단순히 많은 학습 시간은 배신을 할 수 있다!
https://orbi.kr/00064934387 - 26편 대한민국은 강대국이 될 자격이 없다
https://orbi.kr/00065089413 - 27편 본질 feat. 반추 동물의 생존
https://orbi.kr/00067574982 - 28편 추론이란 무엇인가
29편 천재에게 과외 받지 마십시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람도 없던데 정신을 어디다 둔거임
-
[서울=뉴시스] 이혜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이 가자지구를...
-
돌아오면 나빼고 다 늙어있을테니 2070 수능 준비해서 설의가야지
-
투표 몇 명 하지도 않았는데 뭔 이게 4명이나 있어요 님들 아니죠? 사실 하루에...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새터나 오티 못 가나요? 날짜 보니까 정시 추합 전에 진행하는 곳이 많더라고요...
-
팔이 바게트가 될수도 있으니 조심해서 드세요
-
시간이 항상 빨리간다고 느끼는가 그것에대해서 아무런 의구심을 가져본적이 없는가...
-
쪽 6
흐흐.
-
의대 이런 데 말고 일반과..... 진짜 잘 몰라서 그럼
-
강기분에서 범작가 국정원으로 갈아타는거 어케 보세요? 0
국어 4등급인데 강기분 도구 너무 많고 뭔가 근본적인 실력이 느는거 같지가 않은데...
-
개나소나 다 의대생임 ㄹㅇㅋㅋㅋ
-
채플? 강요 아닙니다(사실 채플 시간에 딴짓하는 애들 ㅈㄴ많음) 군기? 그딴 거...
-
인생에서 월1000 한번 찍어보면 그 기억만 가지고 월1000거리는 거임ㅋㅋㅋㅋㅋ...
-
설의 떴냐?? 2
어?
-
챗GPT 1
채찍PT
-
연초라 그런가 2
헬스장에 친구들끼리 우르르 몰려서오네 시끄러워
-
경희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경희대25][대학생 아르바이트 정보]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경희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경희대학생, 경희대...
-
살아 돌아오지않아 이말 되새기며 사리~~
-
“트럼프, 尹 구명 관심 없는 듯…李가 더 나은 동맹” 美 FP 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탄핵 심판을 받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을 도와줄 가능성은...
-
제가 군대를 6월말에 입영하려고 해서 추가모집을 노리고 있는데 혹시 그 시점에...
-
조교일 끝나고 투표 확인할게요
-
인제부터는 인제대 다니는건가요? 옯캬캬캬컅
-
어케 되나ㅇ ㅛ? 공부하러 갈게요 모두 특정 안 당하게 파ㅌㅣㅇ
-
지금 수능치고부터 사문 한글자도 안본듯 대충 기억은 나는데 복습 어떻게할까요? 감유지하고싶은데
-
ㅅㅂ 군대 떨어져서 강제로 학교 다녀야됨 ㅋㅋ
-
졸업->공익 갔다오면 30살 이상되네
-
월500 힘든가 20
엄마한테 나중에 월500 벌고 살면 좋겠다 그게 꿈이다 했음 엄마가 모임가서 이걸...
-
사실 S('서'강) K(성'균'관) Y(한'양') 아닐까요
-
아공부가안됨 2
아무튼안됨ㅇㅇ
-
친척중 한명은 스카이 대학 졸업 레거시 언론사 기자(30년전이니 지금이랑 위상이...
-
연대미래 1
발표 언제나나요?
-
의대 떴냐? 21
떴으니까 올리지!
-
투자 포함 열일해야겠다
-
에어팟끼는걸 잊어서 도서관에 김준쌤의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
자기관리 의미 있나 13
난 그냥 더 꼴이 웃겨지던데
-
운전면허도 없는데 14
지게차면허를 먼저따게생겼네
-
천한놈 비율이 높은 직업은 있다
-
일단 저는 보통 하루에 한번은 씻습니다
-
ㄹㅇ 마약하는 느낌이라 이상했음 막 엄청 큰 쇼파에 통유리로 된 고층 건물 안에...
-
내일 생일인데 0
우리 경제 수특 생일^^ 내일 빨리 태어나서 내 품에 안기렴^^
-
방전된차를 쥬면 어캄씨발아 진짜
-
상보적 조건이 전제가 되어야지만 이형태이죠?? 상보적분포x ->이형태x 맞나요?
-
저희 팀 모의고사 많관부 입니둥~~~ (2/14 배포!!!)
-
“1년 내내 알바만 존나 하다 그냥 수능 봤는데 커하 찍고 붙었어요..“ 가 끝
-
졸려 1
..
-
정보)남캐다 3
이쁘먄 됐지
-
기하러 0
3월부터 시대 수학 공통반 들으려고 하는데 어떤 선생님이 좋을까요?ㅠ 뉴런에 실린...
굿!
뭔가 어체가 현우진 선생님이 들리는 건 기분탓인가..
전에 애들 가르치다보면 가끔 '애들이 이걸 왜 못하지?'하는 순간이 있었는데, 요즘은 최대한 친절하게 설명해주려고 하게 되네요
약간 공감되네요.. 과외생 물1 알려줄 때 이걸 왜 못해? 라는 생각이 들 때가 가끔 있어요ㅋㅋㅋ